Network/시스코 네트워킹 요약

Part 2-2. MAC / OSI7 Layer

jgpaper 2016. 2. 16. 23:20
  1. MAC(Media Access Control)
    1.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고유 주소
    2. 통신을 위해서 IP주소를 다시 MAC 주소로 바꾸는 절차가 필요(ARP)
    3. Physical address
    4. 네트워크 장비 랜카드는 48bit 고유 주소를 가진다.(6옥테트)
    5. 세계적으로 유일 주소
    6. 어드레스, 하드웨어 주소 라고 부름
    7. 모든 (LAN) 상의 디바이스들은 반드시 유일한 어드레스를 가져야 .
    8. 라우터, 스위치 에도 어드레스가 있음
    9. 어드레스는 8자리마다 하이픈(-)이나 콜론(;), (.)으로 구분

00-60-97-8F-4F-86

00:60:97:8F:4F:86

0060.978F.4F86            

 

  1. 이진수 48bit 16진수로 표기(2진수 4자리를 16진수 한자리로 표기)
  2. 주소 구분

00:60:97

8F:4F:86

24bit

24bit

제조사 코드

생산자를 나타내는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

일련번호

제조사에서 장비에 분배하는 Host Identifier, , 시리얼 넘버가 같은 .

 

  1. 네트워크 통신 방식

분류

내용

유니캐스트(Unicast)

    • 현재 가장 많이 사용
    • 전송되는 프레임 안에 출발지 주소( 어드레스) 목적지 주소( 어드레스) 가지고 있는 방식
    •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뿌리면 다른 PC 들은 해당 프레임을 받아 드리고 목적지 주소와 자신의 주소를 비교하고 틀리면 버리고 맞으면 받아 드림
    •  CPU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 로컬 상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 에게 통신을 보냄
    • 로컬 랜이란 라우터로 구분되어 지는 공간
    •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은 무조건 받음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정해져 있음 : FFFF.FFFF.FFFF.FFFF
    • 자신의 주소가 아니더라도 무조건 받아서 CPU 전달
    • 전체 네트워크에 전송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트래픽이 증가하고 패킷이 CPU 전달되어 인터럽트에 따른 PC 성능도 저하
    •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목적지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이런 경우 어드레스 알아내기 위해 하는 동작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고 것이 브로드캐스트를 보냄
    • 라우터끼리  정보를 교환, 다른 라우터를 찾을 서버들이 자신이 제공 하는  서비스를 알릴 , 여러 경우에 사용
    • 30 또는 1분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발생 

멀티캐스트

(Multicast)

    • 보내고자 하는 그룹 멤버들에게 한번에 보낼 사용
    • 예전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았으나 요즘은 여러가지 서비스를 통해 필요로 하고 있음
    • 라우터 스위치가 지원해 주어야 사용 가능
    • 라우터 스위치가 지원하지 경우 브로드캐스트로 취급되어 라우터는 막아버리고, 스위치는 모든 포트로 전송
    • IP주소 클래스 D 사용  

 

  1. OSI 7 Layer
    1.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
    2. 국제 표준 기구인 IOS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7개의 단계를 정의
    3. 정의 이유
      1. 데이터 흐름을 한눈에 보임
      2. 문제 해결에 도움이 (문제가 생기면 7개로 나누어 해결하면 보다 쉽다. )
      3. 단계를 나누어 이를 표준화 함으로써 여러 회사 장비를 써도 네트워크가 이상 없이 동작하도록
    4.   OSI 7 Layer

Layer

설명

비고

L7 Application

    •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
    • 사용자에게 보이는 유일한 계층
    • : 가상터미널

 

L6 Presentation

    • MIME 인코딩이나 암호화 등의 동작이 이 계층
    • : EBCDIC로 인코딩된 문서 파일을 ASCII로 인코딩된 파일로 바꿔 주는 것

 

L5 Session

    •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
    •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

 

L4 Transport

    • 데이터가 문제가 있을 경우 전송 요구
    • 종단간(end-to-end) 통신을 다루는 최하위 계층
    • 종단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며, 오류검출 및 복구와 흐름제어, 중복검사 등을 수행
    • TCP 계층
    • 전송 단위는 세그먼트
    • Layer 4 스위치

L3 Network

    •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부분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
    • IP 계층
    • 라우팅 :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
    • 전송 단위는 패킷
    • 라우터
    • 라우팅 기능을 가지는 Layer 3 스위치

L2 Data-Link

    • 송수신 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 전달 역할
    • 어드레스를 가지고 통신
    • 전송 단위는 프레임
    • 브리지
    • 스위치

L1 Physical

    • 통신의 아래 단계
    •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 통신 단위는 비트
    • 리피터
    • 케이블
    • 허브

 

  1. 프로토콜(Protocol)
    1. 통신을 위한 규약
    2. 프로토콜이 같은 컴퓨터끼리 통신
    3. 컴퓨터끼리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로간의 통신 규약 또는 통신 방식에 대한 약속으로 프로토콜이 같은 끼리 통신이 가능
    4. 프로토콜의 종류는 다양함
      1.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2.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3. AppleTalk : Mac